정치정보연구         논문 검색

[제23권 2호] 남북정상회담 개최와 한반도 안보 상황의 상관고나계 연구 : 2000년~2018년 개최 시기를 중심으로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496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조성된 남북 대화분위기와 안전보장 간의 상관성 및 딜레마를 고찰하는데 있다. 즉 남북정상회담의 개최로 남북관계가 개선되었던 시기 남북 간 군사충돌 및 교류협력 사례 분석을 통해남북 대화분위기가 한반도 안보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자 한다.남북 정상은 지금까지 모두 5차례 만나, 4차례의 공동합의문을 발표하였고그때마다 남북관계의 패러다임이 획기적으로 전환되었다.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한층 고조된 대화분위기로 남북경제협력 활성화, 군사합의, 이산가족 상봉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과가 나타나기도 했지만, 동시에 북한의 무력도발도 현재 진행 중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환적 시점에서 제기되는 문제는, 과연 남북간 대화분위기 또는 남북관계의 개선이 우리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가의문제이다.과거 남북관계가 좋았던 시기, 한반도는 평화로웠는가? 북한은 우리의 안보를 위협한 적이 없었는가? 등의 물음에 대한 냉정한 접근이 필요하다. 이는북한의 비핵화 및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구축의 선순환적 문제이기 때문이다.북한의 비핵화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남북정상회담이 미치는 안전보장과의 관련성을 논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정상회담합의사항의 실천적 이행은 한반도 안전 보장의 저해 요인들을 하나씩 해소하는 과정이며, 긍극적으로는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 및 평화통일 기반조성에 의미가 있다.

※ 키워드: 남북정상회담, 안보, 판문점 선언, 평양공동선언, 북미정상회담 ,안보딜레마

 첨부파일
23-2-8_남북정상회담_개최와_한반도_안보_상황의_상관고나계_연구(2000년~2018년_개최_시기를_중심으로)_박형준.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