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초록>
2015년 직장내 성폭행 사건의 폭로로부터 시작하여 2016년 강남역 여혐살인사건, 2017년 미투운동 그리고 2018년 홍대남성누드몰카 사건과 이은 혜화역시위에 이르기까지 나타난 여성운동의 새로운 동향을 설명하기 위해서2000년대 신자유주의와 개인화된 사회의 등장, 정보화사회의 도래 속에서 여성들의 자유로운 자기 표현, 인터넷 상에서의 여혐과 같이 극대화된 언어폭력에 노출된 사회, 그리고 여성운동의 제도화에 이르기까지 2000년대의 한국사회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의 종착지인 2018년 6차에 걸친 혜화동 시위는 이전의 여성운동과 다른 양상을 보여주었다. 첫째 이전의 여성운동은 엘리트 중심의 대리자 운동이었다면 2018년에 나타난 여성운동은 직접행동주의적 요소를 보여준다. 엘리트 여성들이 아닌, 전문 운동가도 아닌 일반여성들의 직접행동주의이다. 두 번째 새로운 여성운동의 특징은 평등보다는자유를 강조했다는 것이다. 마지막 새로운 여성운동의 특징은 사회적 성 혹은젠더보다는 생물학적 성에 대한 강조였다. 2018년 혜화역 시위에서 나타난여성운동은 2000년대 한국 사회 변화의 산물이면서 또한 여성들의 의식의 변화를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될 것이다.
※ 주제어: 한국 여성운동. 개인화, 직접행동주의, 자유, 생물학적 성